Vision & Logic

관리자 글쓰기
블로그 »
블로그 »
노트북 컴퓨터를 갖고 다니면서 인터넷 연결을 하는데, 무선 인터넷 신호가 조금 부족해 연결이 잘 안될 때가 많더군요. 조금만 신호를 더 잘 잡으면 좋겠다... 하는 느낌. 그런데 인터넷에서 정말 그렇게 신호감도를 좋게 해주는 제품인 와이파이어를 발견하고는 주문을 했습니다. 멀리 미국에서...

근데 무슨 총알 배송인지 13일에 주문하고 17일에 받았네요 -_-;; 빨리와서 좋긴 한데 너무 빨리 오니까 좀 미안한 느낌... 어쨌든 드라이브를 설치하고 확인해보니 기존에 두 개만 보이던 네트워크가 여섯개가 보이는군요. 다른 곳에서 확인하니 네트워크는 보이지만 연결은 안됐었는데, 이제는 연결이 잘 됩니다. 성능은 마음에 드는군요.

가끔 인터넷 신호를 잘 잡느라고 창가에 서서 컴퓨터를 쓰기도 했는데, 이제 그런 일은 없겠네요. 앞으로 여행의 중요한 동반자가 될 것 같습니다.

'Log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에서 텍스트큐브로 옮기기  (2) 2007.10.28
Gmail이 IMAP 지원을 한답니다  (5) 2007.10.24
초고속 무빙워크 탑승기  (4) 2007.08.20
루빅스 큐브의 신비...  (3) 2007.08.17
[펌]초인적 테트리스 능력  (3) 2007.08.16

(go to top)

블로그 »

인터넷에서 구글의 영향력이 워낙 크기 때문에 구글에 대해 늘 관심있게 지켜보고 있습니다. 얼마전 EBS에서 구글 관련 다큐멘타리를 방송했다고 해서 찾아봤는데 재미있네요. 크게 색다른 정보가 있지는 않지만, 그냥 구글에 대한 정보를 잘 모아둔 느낌입니다.

참고로, 미국 여러 도시와 일본에서 찍은 내용이라 "EBS가 다큐멘터리 하나에 이렇게 돈을 많이 들이다니"하고 감탄했는데, 나중에 보니까 NHK 제작이더군요 -_-;; 그러고보면 한국의 방송국들이 만드는 다큐멘터리의 분위기가 원래 일본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는군요.

'Log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루빅스 큐브의 신비...  (3) 2007.08.17
[펌]초인적 테트리스 능력  (3) 2007.08.16
팜의 미래는?  (5) 2007.06.04
Joost 초대권 보내드립니다  (4) 2007.04.27
미투데이가 공개가입을 시작했습니다.  (3) 2007.04.17

(go to top)

블로그 »
Joost.com은 스카이프를 만든 Niklas Zennstrom 와 Janus Frii가 야심차게 추진하는 P2P 기반 차세대 TV 서비스입니다 (이들이 만들었던 Kaazaa와 스카이프도 P2P죠. 혹시 P2P 광팬?). 지금은 베타 서비스 단계라 직접 가입은 좀 어렵고 (신청하고 기다리면 가입을 받아주긴 합니다. 그런데 몇 달이 걸릴 수도 있음), 초청장이 있으면 되는데, 제가 몇 장 있으니 필요한 분은 댓글을 남기시기 바랍니다. 주소나 신분 노출이 염려되면 비밀댓글 기능을 이용해 주세요.

'Log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ogle's Deep Impact  (5) 2007.06.12
팜의 미래는?  (5) 2007.06.04
미투데이가 공개가입을 시작했습니다.  (3) 2007.04.17
[펌] 마우스로 선을 그려 보세요  (4) 2007.03.31
구글 노트북 서비스  (4) 2007.03.02

(go to top)

블로그 »
이 블로그 왼쪽에 뜨는 트위터 같이 짧은 글을 올리는 서비스가 한국에도 있습니다. 바로 미투데이죠. 그런데 지금까지 폐쇄 베타 상태라 초대권이 있어야 가입이 되었는데, 이제 공개적으로 가입을 받는답니다. 단, 프로그래머가 귀찮아 등록 페이지를 만들지 않았다고 합니다 (이런 귀차니즘을 봤나 -_-;; ).
대신 메일을 보내면 등록이 된다는군요.

  • 보낼곳: me2day@doubletrack.net
  • 필요한 정보
    이름
    꼭 실명은 아니어도 상관없습니다. 이름이 없으면 블로그의 이름으로 초대권을 발급합니다.

    전자우편 주소
    전자우편 주소artech@aol.com처럼 완전한 전자우편 주소를 사용해주시기 바랍니다. 가끔 봇을 방지하기 위해 artech at aol dot com처럼 입력하는 분이 있습니다. 이 경우 작업을 두번해야 하기 때문에 꼭 완전한 전자우편 주소를 적어 주시기 바랍니다.

    OpenID
    초대시 꼭 필요한 것이 OpenID 입니다. 따라서 OpenID에 대해 잘 모른 다면 필자의 이전 글을 읽어 보기랍니다. OpenID를 만들었으면 doa.myid.net처럼 OpenID만 적어 주시면 됩니다. http://doa.myid.net이나 doa와 같은 형식은 역시 제가 두번 작업해야 하므로 꼭 doa.myid.net으로 해주시기 바랍니다.

    메일을 보내기 전 읽어보면 좋은 글.



출처: 도아의 세상사는이야기 블로그

'Log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팜의 미래는?  (5) 2007.06.04
Joost 초대권 보내드립니다  (4) 2007.04.27
[펌] 마우스로 선을 그려 보세요  (4) 2007.03.31
구글 노트북 서비스  (4) 2007.03.02
TV 녹화 서비스 엔탈  (3) 2007.02.12

(go to top)

블로그 »

인터넷에서 흥미로운 사진이나 글을 발견했을 때, 기록을 해두고 싶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보통은 페이지를 저장하거나 그림 화일을 저장해 놓는데, 그러면 다시 컴퓨터에서 화일을 정리해야겠죠? 잘못하다간 어디 두었는지 찾지 못하거나 실수로 지워버리기도하고... 그런 고민을 없애주는 서비스가 구글에서 나왔습니다.

구글 노트북 이라는 서비스인데, 사이트로 가서 전용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오른쪽 클릭할 때 생기는 메뉴에 Note this (Google Note) 라는 항목이 생깁니다. 이 부분을 선택하면 밑에 조그맡게 창이 뜨면서 노트가 저장된 모습및 지금까지 저장한 내용의 제목이 뜹니다. 이 프로그램은 인터넷 익스플로러와 파이어폭스를 지원합니다. 인터넷 자료 정리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물론 맥에서도 잘 됩니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구글 계좌가 필요한데, 지메일을 아직 안만드신 분은 gmail.com에 가시면 즉시 가입이 가능합니다(예전의 초청장 방식에서 직접 가입으로 바뀌었음)

그리고 이와 유사한 프로그램이 워드퍼펙트에서도 나왔는데 이름하여 WordPerfect Lightning 불행히도 PC 버전밖에 없어서 써보질 못했는데, 광고만 봐서는 흥미롭더군요. 서비스 자체는 구글 노트북과 비슷한데, 여러 사람과 공유하기가 더 쉬운 듯 합니다.

참고로, 티스토리가 BlogAPI 를 제공해서 외부 프로그램으로 접속해 글을 남길 수 있도록 했는데, 저는 맥에서 flock 으로 글을 쓰는데, 잘 되는군요. 앞으로도 애용해야겠습니다.

(go to top)

블로그 »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제 오후에 시작한 윈도우 설치 작업이 30시간 이상이 걸려 오늘 새벽에야 끝났습니다. 요즘은 매킨토시에도 윈도우를 깔 수 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다 알텐데, 실제로 해보니 만만한 작업이 아니더군요. 사실 이전 노트북에서 새 노트북으로 자료를 옮길 때는 맥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써서 간단하게 끝났는데, 그 작업이 너무나 간편해 좀 섭섭했던 것도 사실입니다. 그런데 이틀간 윈도우와 씨름하고나니, 역시 컴퓨터 작업은 간단한게 최고라는 평범한 진리를 발견하고야 말았습니다 ㅜ.ㅜ

어쨌든 고생을 해서라도 설치를 마치고 나니까 좋군요. 우선, 우리나라 사이트중 상당수는 맥에서 방문을 할 수가 없는데(쇼핑, 은행, 멀티미디어 사이트의 대부분) 이제는 아무 문제 없이 방문할 수 있습니다. 그 기념으로 벅스 뮤직에 들어가 음악도 다운을 받았죠. ㅋㅋ 이제 제게 새로운 인터넷의 세상이  열린 것 같습니다. 하지만 특정 사이트에 갈 때 빼고는 다른 작업은 모두 맥 OS로 하죠. 윈도우는 너무 손에 안익어서... 그리고 써 볼 수록 윈도우는 역시 많이 조잡하다는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 역시 맥이 최고!



'Logic > Ma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에서 새로운 맥북을 발표했습니다  (2) 2007.11.01
[무료] 맥용 어플리케이션 1Password  (3) 2007.10.28
맥에서 인터넷으로 hwp 문서 읽기  (3) 2007.04.02
라이브러리  (10) 2007.01.17
HSDPA 이동중 사용 실험  (2) 2007.01.12

(go to top)

블로그 »
인터넷으로 TV를 보는 분을 위한 흥미로운 서비스가 생겼네요. 엔탈 이라는 서비스인데, 이 사이트에서 보고 싶은 프로그램을 예약해 놓으면 방송이 시작된 후 녹화를 해서 다운 받을 수 있도록 해줍니다. 단, 사용료가 있는데, 1시간에 300원 기준입니다. 뭐 한국 사람들은 워낙 파일 공유 사이트에서 다운을 받기 때문에 꼭 필요하지 않을지도 모르지만, 특정한 경우엔 유용할 수도 있죠. 화일을 다운 받아 보는 방식이기 때문에 맥에서도 잘 되리라고 봅니다(그런데 결제도 맥에서 잘 될지는 모르겠네요). 요금은 계좌이체, 신용카드, 전화결제를 선택할 수 있고, 지금 서비스 오픈 기념으로 다섯가지 프로그램 녹화를 공짜로 할 수 있습니다.
관심 있는 분은 한 번 들러보시길...

'Log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마우스로 선을 그려 보세요  (4) 2007.03.31
구글 노트북 서비스  (4) 2007.03.02
[펌] 비스타 음성 인식 기술  (4) 2007.02.09
하루 10분 인터넷 무료 통화  (7) 2007.02.03
드디어 나도 인터넷 사용자 ㅜ.ㅜ  (3) 2007.01.04

(go to top)

블로그 »
끊임 없이 저렴하게 통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중 흥미로운 서비스가 눈에 띄었습니다. 바로

Gizmo Call

이 사이트에 가서 플러그인을 다운 받아 설치하면 다른 프로그램 없이 사이트 내에서
전화를 걸 수 있습니다. 중요한 사실은 등록만 하면 하루에 10분은 무료로 전화를 걸 수 있다는 사실! 한국내 유선, 무선 모두 됩니다. 물론 많은 외국 전화도 되고. 따라서 국제전화 뿐 아니라 국내 전화도 인터넷 전화로(그것도 무료로) 걸 수 있겠네요.

만약 하루 10분 이상 전화를 걸려면 크레딧을 사야 하는데, 10달러 단위로 사게 됩니다. 흥미로운 서비스는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인데, 즉, 상대방에게 내 전화번호를 보여주는 서비스죠. 인터넷 전화의 가장 문제가 상대방 전화기에 내 번호가 이상하게 (00010201000 이런 식으로) 표시되어 스팸 전화인줄 알고 안받는 일이 많다는 사실인데, 이 서비스를 쓰면 그런 일은 없겠네요. 그런데 한국 전화에도 제대로 번호가 표시될런지는 모르겠습니다.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가 1년에 4달러이고, 만약 10달러 크레딧과 함께 사면 2달러 추가기 때문에 돈을 내고 모험하기 싫어 아직은 안해본 상태입니다.

음질은 테스트를 해 본 결과 그리 깨끗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런데 내가 내 전화에 걸고 테스트를 했기 때문에 좀 정확하지 않은 면이 있습니다. 그래도 알아들을 수 는 있는 수준. 관심 있는 분은 공짜니 직접 테스트해보시죠.

'Log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TV 녹화 서비스 엔탈  (3) 2007.02.12
[펌] 비스타 음성 인식 기술  (4) 2007.02.09
드디어 나도 인터넷 사용자 ㅜ.ㅜ  (3) 2007.01.04
수면 분석 프로그램  (4) 2006.12.29
디지털 저울  (4) 2006.12.28

(go to top)

블로그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에도 한 번 소개했던 도서, DVD관리 프로그램 라이브러리입니다. 지금 보이는 모습은 책의 바코드를 스캔하는 장면인데요, 컴퓨터에 달린 카메라에다 책의 바코드를 대면 바코드를 인식해서 ISBN으로 인터넷에서 책이나 DVD의 정보를 불러옵니다. 그러면 손쉽게 도서& DVD 목록을 만들 수 있겠죠. 아래는 완성된 모습. 한 1년 정도 목록 관리를 안했는데, 이제 다시 시작해야 겠단 생각이 드는군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go to top)

블로그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늘 지하철을 타고 가면서 HSDPA 모뎀으로 인터넷에 접속해 보았습니다. 문제 없이 잘 되더군요. 사실 지하철을 탈 때 조차 인터넷을 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실험삼아 해보았습니다. 다음엔 기회가 되면 KTX를 타고 접속을 해보겠습니다.

'Logic > Ma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에서 새로운 맥북을 발표했습니다  (2) 2007.11.01
[무료] 맥용 어플리케이션 1Password  (3) 2007.10.28
맥에서 인터넷으로 hwp 문서 읽기  (3) 2007.04.02
내 랩탑속의 윈도우...  (6) 2007.02.16
라이브러리  (10) 2007.01.17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