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ion & Logic

관리자 글쓰기
블로그 »
블로그 »
iOS가 4.1로 업그레이드 되면서 추가된 기능으로 HDR(High dynamic range imaging) 촬영을 들 수 있습니다. HDR이란 노출이 다른 이미지를 합성해서 어두운 영역이나 밝은 영역 모두 잘 보이도록 해주는 기술이죠. 이 기능은 iPhone 4에서만 작동합니다.

세팅은 아주 간단해서, 촬영화면에서  HDR ON을 선택해 주기만 하면 됩니다. 그리고, HDR적용 이미지와 미적용 이미지를 함께 저장하려면 환경설정>사진에서 원본 보관을 선택하기만 하면 됩니다.

다음은 원본 사진(위)과 HDR 사진(아래)의 비교입니다.


HDR이 꼭 필요한 상황입니다. 창 주위는 너무 어둡고, 창 내부는 너무 밝죠. 이런 경우엔 HDR이 매우 유용하죠. 실제로 HDR없이 촬영한 사진은 창 주변의 디테일이 거의 안보이는데 비해 HDR로 촬영한 사진은 이 부분의 디테일이 살아있죠.


검은색이 많은 배경 때문에 노란 오리의 하일라이트가 날아갔네요. HDR을 쓰니까 날아갔던 색상이 다시 살아납니다.



이 사진은 평범한 사무실 내부의 모습입니다. HDR로 촬영한 사진은 전반적으로 화면이 밝아지긴 했는데, 그와 동시에 원본의 강렬한 원색 느낌도 많이 죽었네요. 보통 영상 전문가들은 디테일이 살아있나를 보는데 비해, 일반인은 원색 부분이 강렬한가를 봅니다. 따라서 일반인이 보기엔 HDR로 촬영한 사진이 꼭 더 낫다고 느껴지지 않겠죠.


마지막으로, 과연 iPhone이 정말 사진을 여러 장 찍어서 합성하는 방식으로 HDR을 구현하는가, 아니면 한장만 찍고 소프트웨어적으로 HDR 효과를 내는가에 대해 궁금한 분들이 있을 것입니다. 저도 그 점이 궁금했는데, 사진을 몇 장 찍어보니 실제로 여러 장을 찍는다는 사실이 분명해졌습니다. 예를 들어, 위의 사진을 보면 HDR로 찍은 사진 오른쪽에 빠르게 움직이는 아이의 머리 부분이 두겹으로 보입니다. 이는 두 장 이상의 사진을 합성할 때 대상이 움직였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죠. 고정되지 않은 대상을 HDR로 찍을 때는 꼭 이런 모습이 나타났습니다. 이는 iPhone이 정말 사진을 여러 장 찍는다는 확실한 증거입니다.

HDR로 몇 장의 사진을 찍어 본 결과를 놓고 보자면, HDR이 유용한 경우가 많이 있고, HDR로 찍은 사진보다 원본이 더 좋다면 저장된 두 장의 사진 중 원본을 선택하면 되기 때문에, 저장용량이 부족하지 않는 이상 이 기능을 안 쓸 이유도 없을 것입니다. 단, 빠르게 움직이는 대상을 찍을 때는 위의 마지막 사진과 같은 이유에서 HDR이 의미를 잃고, 또한 HDR을 처리하느라 다음 사진을 찍을 때 까지 대기 시간이 길어진다는 점에서 불편할 수도 있겠더군요. 물론 HDR을 촬영 화면에서 바로 On/Off 할 수 있기 때문에 전환이 빠르다는 점은 대단히 훌륭했습니다. 전반적으로 볼 때, iPhone 4의 HDR은 사용자에게 불편을 끼치지 않도록 매우 잘 구현된 기술로, 고정된 대상을 찍을 때는 대단히 유용할 것입니다.

(go to top)

블로그 »


아이폰과 넥서스원의 중요한 차이점 중의 하나는 바로 스크린입니다. 아이폰은 LCD를 쓰고, 넥서스원은 OLED를 쓰죠. OLED는 최신 기술이기 때문에 LCD 스크린에 비해 더 밝고, 반응성이 좋고, 해상도가 높습니다. 하지만 mobilecrunch.com에 올라온 기사에 따르면 아이폰의 화면이 넥서스원보다 꼭 나쁘다고 할 수는 없다고 합니다. displaymate.com의 자료를 바탕으로 mobilecrunch.com에서 작성한 글을 요약/번역해 올립니다.

  • 넥서스원은 PenTile sub-pixel layout(색상 sub-pixel의 레이아웃을 바꿈으로 픽셀을 바꾸는 기술)을 쓰는데, 이 기술은 화면을 더 밝게 해주지만 초록색이 부자연스럽게 보이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 넥서스원은 16비트 컬러를 쓰는데, 이는 빨간색, 파란색은 32레벨, 초록색은 64레벨을 표시한다는 뜻입니다. 아이폰은 18비트 컬러와 디더링을 쓰는데, 이는 24비트 컬러에 근접한 화면을 보여줍니다. 위의 예를 보면 아이폰은 색의 변화가 부드러운데 넥서스원은 색이 끊어지는 부분이 보이죠. 아이폰이 자연스러운 색감을 더 잘 표시하는 원인입니다.

  • 넥서스원과 비교할 때 아이폰의 화면은 콘트라스트는 많이 떨어지지만, 훨씬 밝습니다. 이는 검은색을 잘 표현하지만(빛을 완전히 막음) 넥서스원 OLED 스크린의 특징 때문입니다. 어느쪽이 더 좋다고 말하기는 힘들지만, 아이폰의 화면이 더 밝다는 말은 더 다양한 환경에서 쓸 수 있다는 말이죠.

  • OLED는 새로운 기술이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드라이버에서 개선할 여지가 많습니다. 칼리브레이션 기준의 문제는 인공적인 콘트라스트와 채도로 감춘다고 하더라도, 자세히 살펴보면 넥서스원의 화면이 LCD였다면 LCD 제품 중 최악에 속한다고 말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 넥서스원에서 800×480에 맞추기 위한 스케일링 기술은 매우 원시적입니다. 구글 또는 HTC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스케일링 기술을 선택한 것이 문제로 보입니다. 특히 PenTile sub-pixel layout와 결합했을 때 이미지 품질과 텍스트의 가독성에 심각현 영향을 줍니다.

넥서스원의 화면은 Desire를 포함하여 800×480 OLED 화면을 쓰는 HTC의 다른 제품들에도 채용될 것입니다.

LCD는 끝에 다다른 기술이지만 최적화가 완벽에 가깝게 이루어졌습니다. 지금 200달러에 판매되는 LCD는 몇년 전에 수천 달러에 팔리던 제품입니다. OLED가 미래임은 분명합니다. 문제는 "현재"입니다. 넥서스원이나 준HD는 얼리어댑터라고 할 수 있죠. 검은색 표현능력, 이로 말미암은 콘트라스트, 그리고 전원소비 등에서 이러한 기기는 인상적이지만, LCD가 더 나은 점도 많습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매우 개선된 OLED가 등장할 것입니다(레이어 케이크를 제거함으로 더 밝고 반사가 적은 삼성의 "슈퍼 AMOLED"가 좋은 예죠). 이러한 OLED의 발전은 애플이 차세대 iPhone에서 OLED를 채택하리라는 루머로 이어졌는데, 이는 합리적인 추측입니다.

저자는 넥스트원 화면을 1분 이상 본 적이 없고, 아이폰을 장시간 쓰지도 않기 때문에 경험에 기초한 판단을 할 수는 없다고 합니다. 어쨌든 자신이 보기에 좋은 제품을 쓰면 되겠지요.

출처- iPhoneIndiablog.com

(go to top)

블로그 »
아이폰을 JB(jailbreak, 이른바 탈옥)하면 대부분 sbsettings이 설치됩니다. 여기다 autolock 토글도 설치되면 복원을 해도 화면 잠금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는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화면을 슬라이드 해서 언락을 해도 10초만에 다시 잠금 상태가 되는 것이죠. 특히 이러한 상태는 복원을 하고 나서도 지속되기 때문에 해결이 쉽지 않습니다.

MacOSXhints.com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올라왔습니다.

1.아이폰을 컴퓨터에 연결하고 강제로 백업을 합니다(맥에서는 아이튠스에 뜬 아이폰 어플을 커맨드-클릭하고 백업을 선택하면 됩니다. 이러한 백업이 2:15분에 되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2. 아이튠스에서 복원합니다.
3. 복원이 끝나면 이전 백업에서 복원할것인지 묻게 됩니다. 며칠 전에 백업한 데이타를 선택하였습니다.
4. 이 버전은 며칠 전 백업한 내용이라 지난 며칠간의 내용은 없기 마련입니다. 이 버전을 다시 강제 백업 합니다(2:25에 백업했다고 가정합시다). 이렇게 복원을 했어도 자동 잠김 상태가 지속된다면 그보다 더 전 백업 버전을 써야 할지도 모릅니다.
5. 복원이 끝나고 몇분간 기다립니다.
6. 아이폰에서 다른 세팅은 바꾸지 말고, 자동 잠금(autolock)을 never로 설정합니다.
7. 하나의 세팅만 바꾼 상티앤 이 아이폰을 백업합니다. 이 백업을 2:30에 했다고 가정합시다.
8. Library/Application Support/MobileSync/Backup로 이동합니다(맥 기준. 윈도우라면 아이폰 백업 데이타가 있는 디렉토리로 이동해야겠죠).
9. 여기엔 아이폰의 여러 백업 버전이 존재합니다. 파일 이름은 긴 문자와 숫자의 조합입니다. 수정일 기준으로 파일을 정렬하면 2:15, 2:25, 2:30 백업을 볼 수 있습니다. 2:30 백업으로 갑니다.
10. 자동 잠금을 해지한 2:30 백업 안에는 천 개가 넘는 파일이 있습니다. 수정일 기준으로 정렬합니다.
11. 지난 10-25분 사이에 수정된 파일이 수십개가 보일 것입니다. 이 파일들을 모두 복사합니다.
12. 2:15 백업으로 가서 복사한 파일을 붙여넣어서 기존 파일을 대치합니다.
13. 아이튠스로 가서 2:15분 백업으로 복원합니다.

이렇게 하면 모든 세팅, 어플 데이타, 음악, 사진 등이 복원됩니다. JB가 해지된 상태이기 떄문에 JB원한다면 다시 해야겠죠.

(go to top)

블로그 »
아직 한국에 iPad는 출시되지 않았지만, 벌써 iPhone과 iPad 사이에서 갈등을 느끼는 분도 있을 것입니다. 특히, 기존의 휴대전화가 마음에 드는 사람은 휴대전화를 바꾸지 않고 iPad로는 데이타 통신만 쓰는 방법도 생각해볼 수 있겠죠.



Engadget에서는 아이폰과 아이팻의 통신요금을 비교한 표를 발표했습니다. 이 표에 따르면, 아이폰은 한달 최소 70달러를 요금으로 내야 하기 때문에 2년에 1700달러 이상이 드는데(최저사양 기계값 포함), 아이팻은 한달 최소 15달러를 요금으로 내야 하기 때문에 2년에 988달러가 듭니다. 만약 가장 좋은 기계와 가장 비싼 플랜을 선택한다면, 아이폰은 2년에 3000달러 이상, 아이팻은 1500달러 이상의 돈이 들어갑니다. 즉, 어떻게 봐도 아이팻이 아이폰보다 총비용이 적게 든다는 말이죠.

물론 이는 아이폰이 전화 요금을 포함하는데 비해 아이팻은 전화가 불가능하기 때문이고, 따라서 전화 요금을 고려한다면 전체 비용은 크게 바뀔 것입니다.

(go to top)

블로그 »

아이폰은 한국에 출시된지 한 달 만에 20만대가 팔릴 정도로 인기를 끌었습니다. 얼마전엔 구글에서 Nexus One이라는 자체 제작 휴대전화를 발표하였는데, 아이폰 사용자 중에서 Nexus One (N1)에 대해 관심이 많은 분들도 있을 것입니다. 만약 두 전화를 같이 쓰거나, 아이폰에서 넥서스 원으로 옮겨가기 원하는 분을 위해 원래 아이폰 사용자였다가 N1으로 옮겨온지 세 달이 된 Scott Knaster라는 사람이 확인한 정보를 올립니다(참고로, 그는 구글 직원이라고 합니다). 단, 미국에서 쓴 내용이기 때문에 통신사 관련한 내용 등 한국에서 적용할 수 없는 내용도 많겠죠.

  • iPhone의 SIM카드를 N1으로 옮기면 바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단, AT&T망에서 3G는 쓸 수 없고, Edge만 됩니다. iPhone 데이타 플랜이 N1에도 적용됩니다.
  • 아이폰의 무음 스위치가 N1에는 없지만, N1을 무음으로 바꾸려면 잠금화면에서 볼륨 컨드롤을 손가락으로 그어주면 됩니다. 전화기가 이미 켜진 상태라면 볼륨 다운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으면 무음으로 전환됩니다.
  • Gmail이나 구글 칼렌다를 쓴다면 이런 서비스 전용 어플이 마음에 들 것입니다. 브라우저라는 감옥에서 탈출한 셈이니까요.
  • 보이스 입력은 단지 장난감이 아니라 잘 작동합니다. 시끄러운 곳에서라도 분명하게 말하면(느리게 말할 필요는 없습니다) 거의 100% 인식이 됩니다. 이는 아마도 마이크의 소음 제거 성능이 좋기 때문이겠죠.
  • 어플을 구입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 마켓은 24시간 내에 환불을 해줍니다. 따라서 어플을 하루동안 써 보고 마음에 들지 않으면 환불하면 되죠.
  • 브라우저를 확대하려면 더블탭을 하면 되지만, 손가락 둘로 늘이기나 줄이기는 안됩니다. 안드로이드 마켓에서는 이러한 제스처를 제공하는 브라우저인 Dolphin을 구입할 수 있습니다.
  • 어떤 어플과 기능이 배터리를 얼마나 쓰는지 알려주는 내장 어플이 있습니다. 매우 귀중하죠.
  • 아이폰과 비교했을 때 가장 눈에 띄고 기분 좋은 장점은 두 기기를 옆에 둘 때 N1의 스크린이 훨씬 선명하다는 점입니다.
  • 스크린 위를 터치한다고 맨 위로 스크롤이 되지는 않지만, 손가락으로 두번 쯤 그어주면 맨 위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아이폰과 비교해서, 스크롤 할 때 저항감이 덜합니다.
  • AT&T의 비주얼 보이스메일 대신 구글 보이스에 등록하고 구글 보이스가 당신의 보이스메일을 관리하도록 하면 비주얼 보이스메일을 얻을 뿐 아니라 문자화된 메시지도 얻기에 훨씬 좋습니다. 또한 보이스메일을 이메일로 보내거나 웹 UI를 통해 들을 수도 있죠.
  • iPhone을 처음 쓸 때 그러하듯, 타자치는 법을 다시 배우게 됩니다. N1 키보드의 장점 중 하나는 여러가지 자동완성 선택목록입니다. 이렇게 해서 아이폰보다 입력을 더 빨리 할 수 있습니다.
  • 전화하는 동안은 인터넷을 쓸 수 없지만, 백그라운드 어플을 돌릴 수는 있습니다. 따라서 구글톡 같은 어플도 잘 쓸 수 있고 판도라 같은 음악 어플도 유용하게 쓸 수 있습니다.

(go to top)

블로그 »
아이폰 탈옥(jailbreak)전문가인 ZodTTD가 iPhone 3GS에서 Playstation emulator인 psx4iphone를 돌리는 비디오를 공개했습니다. 아이폰은 jailbreak하지 않은 상태라고 합니다.


비디오에 나오는 게임은 Final Fantasy 7인데, 사운드 없이 풀스피드로 돌아간다고 합니다. 에뮬을 재시작하지 않으면 게임을 바꿀 수 없고, 메모리 카드 저장만 가능하다는 점에서 아직은 미완성이지만, 계속 개선중이라는군요. 과연 iPhone용 에뮬들이 어디까지 발전할지 궁금해집니다.

출처- iPhoneIndiaBlog.com

(go to top)

블로그 »

Appadvice.com에 올라온 새로운 iPhone정보입니다.

  • 32GB와 16GB모델
  • 199달러와 299달러 가격 유지
  • 3.2메가픽셀 카메라
  • 비디오 녹화&편집 가능
  • MMS로 사진과 비디오 보내기 기능
  • 아이폰 주변의 금속 밴드 제거
  • OLED 스크린
  • 배터리 성능 1.5배 향상
  • 램 용량, 프로세스 성능 두 배로 향상
  • FM 트랜스미터 내장
  • 뒷면의 애플 로고 빛남
  • 뒷면 고무 처리
  • 더 세련된 디자인
  • 내장 나침반
  • 카메라, GPS, 나침반, 구글맵을 연동해 사진을 찾고 사진을 찍은 장소를 기록하는 혁명적인 기술
  • Turn by turn 방향제시
  • 2009년 7월 17일 출시
과거에도 6월 WWDC에서 발표하고 7월에 출시했다는 점을 볼 때, 올해도 발표는 6월, 출시는 7월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만약 이러한 정보가 사실이라면, 대단히 혁명적인 발전은 아니지만, 착실하게 내실을 다지는 업그레이드가 되겠군요.

(go to top)

블로그 »


얼마전 아마존에서 Kindle 2를 내놓으면서 새로운 기능으로 WhisperSync를 추가했죠. Whispersync는 하나의 책을 여러 가지 모바일 기기에서 읽을 때, 어디까지 읽었는지를 모두 통일시켜주는 기능입니다. 즉, 이 기기에서 100페이지까지 읽다가 다른 기기에서 읽을 때 80페이지가 열린다면 새롭게 읽던 부분을 찾아야 하기에 불편한데, Whispersync는 그러한 불편을 없애준다는 것이지요.

하지만 지금 킨들용 이북을 읽을 수 있는 기기는 킨들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WhisperSync는 킨들을 두 개 이상 소유한 사람에게만 기능이기에 별로 유용해 보이질 않죠. 하지만 뉴욕 타임스에 실린 이 기사를 읽어보면, 아마존은 킨들용 이북을 다른 모바일 기기에서도 읽을 수 있도록 노력중이라고 합니다. 가장 관심이 가는 분야는 아이폰/아이팟 터치로도 킨들용 이북을 읽을 수 있느냐는 점인데, 아이폰이 최근 가장 인기 높은 모바일 기기라는 점을 생각할 때, 아마존으로서도 놓치기 싫은 시장이겠죠. 따라서 언젠가 아이폰용 킨들 어플이 등장해서 킨들 이북을 아이팟에서 읽게 되리라는 추측이 많습니다.

물론 책을 많이 읽는 분이라면 작은 스크린으로 글을 읽기가 부담스럽겠고, 이런 분은 여전히 킨들 같은 전용 이북 리더를 원하겠지만, 가끔씩 지하철에서 보는 용도로는 아이폰도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저도 과거에 Palm으로 이북을 많이 읽었으니까요. 어쨌든 지금 킨들은 이북 제품 중 최대의 유료 도서를 자랑하는데, 이러한 수 많은 책을 아이폰/아이팟 터치에서도 즐길 수 있게 된다면 정말 좋겠네요.

(go to top)

블로그 »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트너의 애널리스트 켄 둘레니에 따르면 애플에서 3G iPhone 천만대를 제작 주문했다고 합니다. 또한 iPod Observer에 따르면 새로운 iPhone은 OLED 디스플레이를 써서 더 얇으면서도 밧데리가 더 오래가는 제품일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2세대 아이폰은 1세대 아이폰이 큰 성공을 거두지 못한 유럽 시장에 대한 반응으로 개발되었다는군요. 한국도 3G 폰은 사용이 가능하고, 특히 최근에 SIM 카드를 언락하는 추세라 한국에서도 사용 가능하지 않을까 기대가 되는군요 (3G 심프리에 대해선 클리앙에 올라온 이 글을 참고하세요).

여러 번 3G iPhone에 대한 소문이 돌았지만 실체는 드러나지 않았는데, 이번엔 올바른 소식이길 기대해 봅니다.

출처- Macworld UK
 

(go to top)

블로그 »
아이폰을 1.1.3으로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한 분 중, 여러가지 이유에서 다운그레이드를 하기 원하는 분이 있을 것입니다. 그런 분을 위해 hackthatphone.com에서 Recovering from an update to 1.1.3 firmware이라는 포스팅을 올렸네요. 인텔맥, XP, 비스타에서 모두 가능하다고 합니다. 단, bootloader가 깔려 있어야 한다는군요. bootloader 4.6이 깔린 경우에는 다운그레이드는 되지만 전화 기능을 잃는다고 합니다.

스크린 캡쳐와 함께 자세히 나와 있으니 따라하시면 될 것입니다.

출처- TUAW


(go to top)